본문 바로가기

대전발성

말소리와 노래가 다르면, 어떻게 극복을 해야하나요? 더보이스핏 발성연구소 레슨팁 말소리와 노래부를 때의 소리가 많이 다른 분들 계신가요? 실력이 고급으로 가면서, 혹은 고급으로 가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민하는 이 부분. 사실 음성직업군에 속해있지 않은 이상 이 2가지를 각각 연습하는 분들은 많이 없을 겁니다. 목소리 좋고,말소리가 뚜렷하고,명확한 분들 중에 노래를 정말 잘 하는 분들은 거의 못 봤습니다. 성악,오페라 배우 겸 선생님인 분들,일부 보컬강사분들 말고는 거의 못 봤습니다. 반대로 노래를 정말 잘 하는 분들 중에 말소리가 스피치 강사나,성우처럼 뚜렷한 분들도 거의 못 봤구요. 이 2가지를 잘 하는 것. 정말 어려운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말하듯이 노래하라.' ' 말하는 것처럼 편하게 노래하라.' 이런 말씀들은 하죠. 근데 연습을 오래 하다보면.. 더보기
2018년도 수업방향 및 레슨 설명 더보이스핏 발성연구소 안녕하세요. 그 동안 레슨에 대한 설명이 부족해서 공지합니다. 그 동안 수업경험으로 보면 저는 노래보다도 발성을 바꾸어 드리는 것이 더 적성이 맞고,성과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사실 노래와 발성은 별개의 문제인지라 제가 학생들의 노래까지 관여하고,티칭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수업은 세분화하여서, 각 분야의 전문가에게 받는 것이 적합합니다. 실용음악장르 보컬수업은 실용음악학과를 나온 선생님께. 성악 수업은 성악과를 나오신 선생님께. 스피치 수업은 스피치 강사에게. 아나운싱 수업은 아나운서에게. 각자의 자라온 환경,성격,사상,감정,경험,좋아하는 가수,음악 등이 다르기에, 표현하는 것 또한 다르기에 제가 그 사람의 노래까지 관여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소리,.. 더보기
내 말이 맞다면,다른 사람들의 말도 맞습니다. 더보이스핏 발성연구소 레슨팁 많은 선생님들이 '자신의 지론,커리큘럼,티칭이 정답이다,옳다,맞다.' 이런 얘기들은 하십니다. 또 '내가 정답이고, 다른 사람은 잘못 되었다.' 고 주장하면서, 다른 단체나 강사들의 티칭이나 발성법에 대한 비판,비난을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홍보,마케팅전략이므로 이해는 합니다. 또 가르치는 분들은 그러한 자신만의 프라이드나 아이텐티티가 없으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것들이 과하고,프레임으로 오래 갇혀버린다면 자만이 되고,독단이 되며,아집이 되어 버립니다. 저도 다양한 분야들을 경험하고,배우다보니 스스로 많이 부족하단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저는 요즘에 세스릭스 선생님의 '스타처럼 노래하세요.' 책을 다시 읽어보고 있습니다. 예전에 학생 때, 하숙집에서 노래 좋아하던.. 더보기
좋은 음질의 소리는 마스께라로 얇게 강하게 붙어서 굉장히 날카롭게 쭉쭉 스트레이트로 뻗는 밝은 소리. 그만큼 커버링이 잘 되어 안정감 있고, 풍부하고, 어둡게 둥그런 소리. 저음인데도 마치 고음이 들리고, 고음도 저음같은 탄탄한 질감의 소리. 음색적으로는 마치 소년 같은. 애는 아니고. ㅎㅎ 저음부터 중고음까지. 미성의 에너지가 넘치는 소년의 목소리 같은. 까랑까랑하고, 맑은, 풍부한. 그러한 단계가 최상급의 소리라고 생각한다. 최상급의 소리로 바뀌어지려면 말소리도 역시 개발을 해야 한다. 목소리,말소리,노래 따로 놀면 안 된다. 성종이나 목소리에 관계없이 누구든 극에 달하면 저러한 단계까지 개발이 가능할거라 믿는다. 피치는 만드는 게 가능하지만, 소리의 두꺼움은 선천적으로 정해져 있는 것 같다. 피치와 두꺼움은 반비례하기.. 더보기
레슨 시, 이론 설명과 용어 사용에 대해. 개인적으로 말 어렵게 하는 걸 굉장히 안 좋아합니다. 또 말 어렵게 하면서 , 빙빙 둘러서 말하거나, ​ 횡설수설 하는 것 역시 안 좋아합니다. 전에 그런 식으로 말을 하고, 대화를 했었는데, 한번은 상대방이 똑같이 말해서 굉장히 짜증이 난 적이 있죠. 그 때 알았습니다. '아 저러면 안 되겠구나.' 흔히들 말하는 이불킥을 하죠. ㅎㅎ ​ 수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대학교때 전공수업을 들어도 막 생소한 용어 쓰면서 어렵게 수업을 진행 설명하시는 교수님보다 쉽게 쉽게 가르치시는 교수님 수업이 더 재미가 있었습니다. 전공수업 가득이나 어렵고,재미없는데 말 어렵게 하고, 지루하면 더 짜증나죠~~ ​ ​ ​ ​ 그래서 저도 레슨때 쓸데없는 설명 많이 안 하고, 딱히 용어도 안 씁니다. 예를 들어서 오락실 게임중에 .. 더보기